분류 전체보기
JAVA-자료구조 (Heap)
1. 힙 (Heap) 이란? 힙: 데이터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빠르게 찾기 위해 고안된 완전 이진 트리 (Complete Binary Tree) 완전 이진 트리: 노드를 삽입할 때 최하단 왼쪽 노드부터 차례대로 삽입하는 트리 - 힙을 사용하는 이유 - 배열에 데이터를 넣고, 최댓값과 최솟값을 찾으려면 O(n)이 걸림 - 이에 반해, 힙에 데이터를 넣고, 최댓값과 최솟값을 찾으면 O(log n)이 걸림 - 우선순위 큐와 같이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빠르게 찾아야 하는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구현 등에 활용됨 2. 힙 (Heap) 구조 힙은 최댓값을 구하기 위한 구조 (최대 힙, Max Heap)와, 최솟값을 구하기 위한 구조 (최소 힙, Min Heap) 로 분류할 수 있음 힙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조건을 ..

React-Native ( style 속성과 StyleSheet API 이해하기) - part4
컴포넌트 배치 관련 스타일 속성 탐구하기 (코드는 맨 아래에) flex: 1과 height: '100%'의 차이 height: '100%'스타일은 높이와 무관하게 부모 컴포넌트의 높이를 모두 가져오므로 ( Dimensions.get('window').height )값을 설정한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하지만 flex: Integer 는 자식 요소 끼리 부모 컨테이너의 공간을 나눠 가지는 역할을 수행할 때 사용됩니다. flexDirection 스타일 속성 React-Native는 flexDirection의 기본값이 'height'이기 때문에 위의 그림에서 TopBar의 컨테이너를 'row'로 나누고 flex의 비율을 1씩 할당한 것입니다. 또한 Content 부분은 비율을 각각 1 2 3 으로 차등 분배..
React-Native ( style 속성과 StyleSheet API 이해하기) - part2
1. 자원과 아이콘 사용하기 npmireact−native−vector−iconsreact−native−papercolorfaker npm i -D @types/color @types/faker $ npm i -D @types/react-native-vector-icons /* eslint-disable */ import React from 'react'; import { SafeAreaView, StyleSheet, Text, Platform, Dimensions, View, ImageBackground, } from 'react-native'; import {Colors} from 'react-native-paper'; import Color from 'color'; const {wi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