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해쉬 테이블
- 키(Key)에 데이터(Value)를 매핑할 수 있는 구조
- 해싱 함수를 통해, 배열에 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주소(인덱스 번호)를 계산
- Key를 통해 바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주소를 알 수 있으므로, 저장 및 탐색 속도가 획기적으로 빨라짐
- 미리 해쉬 함수가 생성할 수 있는 주소(인덱스 번호)에 대한 공간을 배열로 할당한 후, 키에 따른 데이터 저장 및 탐색을 지원한다.
2. 알아둘 용어
- 해쉬 함수(Hash Function): 임의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값으로 리턴해주는 함수
- 해쉬(Hash), 해쉬 값(Hash Value), 또는 해쉬 주소(hash Address): 해싱 함수를 통해 리턴된 고정된 길이의 값
- 해쉬 테이블(Hash Table): 키 값의 연산에 의해 직접 접근이 가능한 데이터 구조
- 슬롯(Slot): 해쉬 테이블에서 한 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
3. 간단한 해쉬
3-1. hash table 클래스 만들기
* 참고 ( 객체 배열 )
- 객체 배열 선언시, 각 배열의 아이템은 각 객체를 참조할 수 있는 주소를 담을 수 있는 공간만 할당
- 각 아이템 생성시, 별도로 각 객체를 생성해줘야 함
- 즉, 객체 배열 선언시, 각 생성할 객체를 가리킬 주소만 저장할 공간을 배열로 만드는 것임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tudents[] students = new Students[5];
for(int i = 0; i < students.length; i++) {
students[i] = new Student("00" + i, "홍길동" + i, "남자", (double)((int)(new Random().nextDouble() * 4.5 * 100)) / 100));
}
for(int i = 0; i < students.length; i++) {
System.out.println("---------------");
students[i].show();
}
}
}
// 이와같이 객체 배열을 만들 수 있다.
// src/com.company.Hash/Hash.java
package com.company.Hash;
public class MyHash {
public Slot[] hashTable;
public MyHash(Integer size) {
// object list
this.hashTable = new Slot[size];
}
// 내부 클래스
public class Slot {
String value;
Slot(String value) {
this.value = value;
}
}
}
3-2. 초간단 해쉬 함수를 만든다
- Key가 문자열일 떄, 문자열의 앞 글자를 숫자로 변환해서, Division기법을 사용하여, Key에 대한 주소(인덱스 번호)계산
- Division 기법: 가장 간단한 해쉬 함수 중 하나로, 나누기를 통해, 나머지 값을 사용하는 방법
3-3. 해쉬 테이블 클래스에 해쉬 함수 추가
// src/com.company.Hash/Hash.java
package com.company.Hash;
public class MyHash {
public Slot[] hashTable;
public MyHash(Integer size) {
// object list
this.hashTable = new Slot[size];
}
// 내부 클래스
public class Slot {
String value;
Slot(String value) {
this.value = value;
}
}
public int hashFunc(String key) {
return (int)(key.charAt(0)) % this.hashTable.length;
}
}
public class Slot {
String value;
Slot(String value) {
this.value = value;
}
}
Slot[] hashTable = new Slot[20];
System.out.println(hashTable[0]);
// null
public class Slot {
String value;
Slot(String value) {
this.value = value;
}
}
Slot[] hashTable = new Slot[20];
hashTable[0] = new Slot("test");
System.out.println(hashTable[0]);
System.out.println(hashTable[0].value);
// REPL.$JShell$40$Slot@5a20858a
// test
해시 테이블 클래스에 saveData()메서드 추가
// src/com.company.Hash/Hash.java
package com.company.Hash;
public class MyHash {
public Slot[] hashTable;
public MyHash(Integer size) {
// object list
this.hashTable = new Slot[size];
}
// 내부 클래스
public class Slot {
String value;
Slot(String value) {
this.value = value;
}
}
public int hashFunc(String key) {
return (int)(key.charAt(0)) % this.hashTable.length;
}
public boolean saveData(String key, String value) {
Integer address = this.hashFunc(key);
if(this.hashTable[address] != null) {
this.hashTable[address].value = value;
} else {
this.hashTable[address] = new Slot(value);
}
return true;
}
}
해쉬 테이블 클래스에 key에 대한 데이터를 가져오는 메서드 추가
// src/com.company.Hash/Hash.java
package com.company.Hash;
public class MyHash {
public Slot[] hashTable;
public MyHash(Integer size) {
// object list
this.hashTable = new Slot[size];
}
// 내부 클래스
public class Slot {
String value;
Slot(String value) {
this.value = value;
}
}
public int hashFunc(String key) {
return (int)(key.charAt(0)) % this.hashTable.length;
}
public boolean saveData(String key, String value) {
Integer address = this.hashFunc(key);
if(this.hashTable[address] != null) {
this.hashTable[address].value = value;
} else {
this.hashTable[address] = new Slot(value);
}
return true;
}
public String getData(String key) {
Integer address = this.hashFunc(key);
if(this.hashTable[address] != null) {
return this.hashTable[address].value;
} else {
return null;
}
}
}
완성된 해시테이블 테스트
// src/com.company/Main.java
package com.company;
import com.company.Hash.MyHash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MyHash mainObject = new MyHash(20);
mainObject.saveData("DaveLee", "01022223333");
mainObject.saveData("HyunseoLee", "01044445555");
System.out.println(mainObject.getData("HyunseoLee"));
}
}
// 01044445555
4. 자료 구조 해쉬 테이블의 장단점과 주요 용도
- 장점
- 데이터 저장/읽기 속도가 빠르다. (검색 속도가 빠르다)
- 해쉬는 키에 대한 데이터가 있는지(중복) 확인이 쉬움
- 단점
- 일반적으로 저장공간이 좀더 많이 필요하다
- 여러 키에 해당하는 주소가 동일할 경우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별도의 자료구조가 필요함
- 주요 용도
- 검색이 많이 필요한 경우
- 저장, 삭제, 읽기가 빈번한 경우
- 캐쉬 구현시 (중복 확인이 쉽기 때문)
5. 충돌(Collision) 해결 알고리즘 (좋은 해쉬 함수 사용하기)
기존 알고리즘의 문제점
// src/com.company/Main.java
package com.company;
import com.company.Hash.MyHash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MyHash mainObject = new MyHash(20);
mainObject.saveData("DaveLee", "01022223333");
mainObject.saveData("HyunseoLee", "01044445555");
mainObject.saveData("David", "01066667777");
mainObject.saveData("Dave", "01088889999");
System.out.println(mainObject.getData("DaveLee"));
}
}
// 01088889999
5-1. Chaining 기법
- 개방 해싱 또는 Open Hashing 기법 중 하나: 해쉬 테이블 저장공간 외의 공간을 활용하는 기법
- 충돌이 일어나면, 링크드 리스트라는 자료 구조를 사용해서, 링크드 리스트로 데이터를 추가로 뒤에 연결시켜서 저장하는 방법
// src/com.company.Hash/MyHash.java
package com.company.Hash;
public class MyHash {
public Slot[] hashTable;
public MyHash(Integer size) {
// object list
this.hashTable = new Slot[size];
}
// 내부 클래스
public class Slot {
public String key;
public String value;
public Slot next;
public Slot(String key, String value) {
this.key = key;
this.value = value;
this.next = null;
}
}
public int hashFunc(String key) {
return (int)(key.charAt(0)) % this.hashTable.length;
}
public boolean saveData(String key, String value) {
// 해당 키에 대한 주소를 가져온다.
Integer address = this.hashFunc(key);
// 이미 해당 슬롯이 있다면
if(this.hashTable[address] != null) {
// linked list 기법을 사용해서 이어 붙여야 한다.
// 일종의 해드라고 할 수 있다.
Slot findSlot = this.hashTable[address];
while(findSlot.next != null) {
if(findSlot.key == key){
// 해당되는 키를 찾았다면 value만 바꿔주면 된다.
findSlot.value = value;
return true;
} else {
findSlot = findSlot.next;
}
}
// 만약 마지막까지 순회했다면
// System.out.println("findSlot key >> " + findSlot.key);
// System.out.println("findSlot value >> " + findSlot.value);
// System.out.println("key >> " + key + " value >> " + value);
findSlot.next = new Slot(key, value);
} else {
// 해당 슬롯에 아무것도 할당되어 있지 않다면
this.hashTable[address] = new Slot(key, value);
}
return true;
}
public String getData(String key) {
// System.out.println("we're just find >> " + key);
Integer address = this.hashFunc(key);
if(this.hashTable[address] != null) {
Slot findSlot = this.hashTable[address];
while(findSlot != null) {
// System.out.println("Slot key >> " + findSlot.key);
// System.out.println("Slot value >> " + findSlot.value);
if(findSlot.key == key) {
return findSlot.value;
} else {
findSlot = findSlot.next;
}
}
return null;
} else {
return null;
}
}
}
// src/com.company/Main.java
package com.company;
import com.company.Hash.MyHash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MyHash mainObject = new MyHash(20);
mainObject.saveData("DaveLee", "01022223333");
mainObject.saveData("HyunseoLee", "01044445555");
mainObject.saveData("David", "01066667777");
mainObject.saveData("Dave", "01088889999");
System.out.println(mainObject.getData("Dave"));
}
}
// 01088889999
5-2. Linear Probing 기법
- 폐쇄 해싱 또는 Close Hashing 기법중 하나: 해쉬 테이블 저장공간 안에서 충돌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
- 충돌이 일어나면, 해당 hash address의 다음 address부터 맨 처음 나오는 빈공간에 저장하는 기법
- 저장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법
// src/com.company.Hash/MyHash.java
package com.company.Hash;
public class MyHash {
public Slot[] hashTable;
public MyHash(Integer size) {
// object list
this.hashTable = new Slot[size];
}
// 내부 클래스
public class Slot {
public String key;
public String value;
public Slot next;
public Slot(String key, String value) {
this.key = key;
this.value = value;
this.next = null;
}
}
public int hashFunc(String key) {
return (int)(key.charAt(0)) % this.hashTable.length;
}
// Linear Probing 기법
public boolean saveData(String key, String value) {
// 해당 키에 대한 주소를 가져온다.
Integer address = this.hashFunc(key);
// 값이 있다면
if(this.hashTable[address] != null) {
if(this.hashTable[address].key == key) {
this.hashTable[address].value = value;
return true;
} else {
// linear probing기법을 위해 address를 1더 해준다
Integer currAddress = address + 1;
while(this.hashTable[currAddress] != null) {
if(this.hashTable[currAddress].key == key) {
this.hashTable[currAddress].value = value;
return true;
} else {
currAddress++;
if(currAddress >= this.hashTable.length) {
return false;
}
}
}
this.hashTable[currAddress] = new Slot(key, value);
return true;
}
} else {
this.hashTable[address] = new Slot(key, value);
}
return true;
}
// Linear Probing 기법
public String getData(String key) {
Integer address = this.hashFunc(key);
if(this.hashTable[address] != null) {
if(this.hashTable[address].key == key) {
return this.hashTable[address].value;
} else {
Integer currAddress = address;
while(this.hashTable[currAddress] != null) {
if(this.hashTable[currAddress].key == key) {
return this.hashTable[currAddress].value;
} else {
currAddress++;
if(currAddress >= this.hashTable.length) {
return null;
}
}
}
return null;
}
} else {
return null;
}
}
}
// src/com.company/Main.java
package com.company;
import com.company.Hash.MyHash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MyHash mainObject = new MyHash(20);
mainObject.saveData("DaveLee", "01022223333");
mainObject.saveData("HyunseoLee", "01044445555");
mainObject.saveData("David", "01066667777");
mainObject.saveData("Dave", "01088889999");
System.out.println(mainObject.getData("Dave"));
}
}
// 01088889999
참고: JAVA HashMap
- 해쉬 테이블 구조를 활용하여 구현된 JAVA Collection Framework에 속한 클래스
// src/com.company/Main.java
package com.company;
import com.company.Hash.MyHash;
import java.util.HashMap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HashMap<Integer, String> map1 = new HashMap<>();
map1.put(1, "사과");
map1.put(2, "바나나");
map1.put(3, "포도");
HashMap<String, String> map2 = new HashMap<>();
map2.put("DaveLee", "01033334444");
map2.put("Dave", "01032221111");
map2.put("David", "01044445555");
System.out.println(map1.get(2));
System.out.println(map2.get("Dave"));
}
}
// 바나나
// 01032221111
7. 시간 복잡도
- 일반적인 경우(Collision이 없는 경우)는 O(1)
- 최악의 경우(Collision이 모두 발생하는 경우)는 O(n)
- Linear Probing, Chaining 기법 둘 다 동일
해쉬 테이블의 경우는 일반적인 경우를 기대하고 작성함
검색에서 해쉬 테이블의 사용 예
- 배열에 데이터를 저장하고, 검색할 때 O(n)
- 이상적인 해쉬 테이블 케이스에서 데이터를 검색할 때 O(1)
'Algorithm > Algorithm-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-자료구조 (Heap) (0) | 2021.11.20 |
---|---|
Java-자료구조 (Tree) (0) | 2021.11.19 |
Java-자료구조 (시간 복잡도) (0) | 2021.11.18 |
Java-자료구조 (Linked-List) (0) | 2021.11.17 |
Java-자료구조 (Stack) (0) | 2021.11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