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시간에는 특정 리소스를 강제로 교체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실제로 현업에서 리소스상에 문제는 없는데, 이것때문에 문제인거 같아서, 리소스를 하나 교체해서 디버깅해보고 싶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. 이럴 때는 Terraform에서 tain라는 명령어를 지원합니다.
이 상태에서
internet_gateway를 taint시켜주었습니다.
그럼 이와 같이 internet_gateway 뿐만 아니라 그 아래의 의존성들도 변경합니다.
그리고 untaint로 해당 리소스의 taint를 풀 수도 있습니다.
그리고 apply의 -replace옵션을 줘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.
'DevOps > AWS Architectu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DevOps ] - (테라폼을 이용한 인프라 관리) 테라폼 모듈 작성 (0) | 2022.08.02 |
---|---|
[ DevOps ] - (테라폼을 이용한 인프라 관리) 테라폼 워크스페이스 관리 (0) | 2022.08.01 |
[ DevOps ] - (테라폼을 이용한 인프라 관리) 테라폼 상태 관리 (0) | 2022.08.01 |
[ DevOps ] - (테라폼을 이용한 인프라 관리) 테라폼 상태 저장소(Backend) (0) | 2022.08.01 |
[ DevOps ] - (테라폼을 이용한 인프라 관리) 테라폼 HCL 반복문 (For) (0) | 2022.07.21 |